-
normalizing flow는..Campus Life 2025. 3. 3. 12:03
봐도봐도 새로워..
분명히 이해한 거 같은데
코드를 보면 또 신기하고
이게 돼? 싶구.
Pieter Abbeel 교수님이 NF lecture에서 하신 말씀,
몇 년째 강의를 하지만,
강의를 할 때마다 일주일 전부터 "이게 어떻게 되지?" kind of magic 같다고..
스스로 convincing하기 힘들다고 하신 말씀.
왜케 위로가 되지? ㅎ
이걸 이해하신 분들은 천재적 두뇌를 타고나신 분들 같아.
이런걸 생각해내신 분들도 그렇고.
diffusion등에 비해서
몇 년 째 획기적인 변화가 없었던 이유는 사람들이 옳바른 방향을 제대로 찾지 못한 것 같다고 말씀하셨는데,
나는 정말 놀라웠던 게,
사실 score-based model (diffusion을 포괄하는) 도 결국
neural ODE의 일종이고,
neural ODE와 FFJORD가 아주 진작에 나왔는데,
내 개인적으로는 엄청 중요한 논문이라고 생각되는데
다른 논문에 비해서, 언급되는 걸 거의 보질 못했고
지금 flow-matching 으로 이어지기 까지 상당한 시간이 흘렀다는 게 놀라웠다.
그러니까 결국 Fokker-Planck Equation으로 귀결된다는 건데
마치 한라산을 등반할 때
영실 코스로 가든, 관음 코스로 가든 종착점은 같은데
가는 길의 난이도와 보이는 풍경이 다르듯이
diffusion과 score-based model이 equivalent함을 보였듯이
flow-matching도 궁극적으로는 equivalent하겠구나 하는 것이
나의 호기심을 엄청 자극했던 것 같다.
작년에 generative model 수업시간에
normalizing-flow 너무 어려워서 하나도 이해 못했었다..
이거 수업만 청강하고 싶다고 교수님께 말씀드려볼까?
이제는 공부했기 때문에, 다시 들으면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은데..
흠.. 허락해주실까..
'Campus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해했으면 된 거지? (0) 2025.03.13 .. (0) 2025.03.10 2025 winter report (0) 2025.03.03 세상 천재들 (0) 2025.02.26 .. (0)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