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Time-linePaper Writing 2/Draft 2025. 5. 6. 23:44
창작의 고통..글짓기 너모 힘들어요. 살려주세요. 피로가 몰려오는 듯.오늘은 좀 일찍 자야겠다라고 말하는데, 벌써 12시가 다 되어가네. 힝 원래 오늘 전 부치고 두릅 데쳐먹으려 했는데, 글짓기 하다가 하나두 못 해먹었다. ㅜㅜ 힝 이번 주는 previous work, data, methodology 마무리하고,담주에는 experiment 다시 제대로 해서 정리하자. methodology 정리하는 게 좀 힘들 거 같긴 한데..힘내자 아자아자!!
-
[On-going] Data & Previous worksPaper Writing 2/Draft 2025. 5. 6. 12:20
Data1. 지자체별 출산장려금 현황 및 데이터의 한계출산장려금은 출산과 양육을 위해 일시적 혹은 일정 기간 지급하는 모든 현금지원을 의미한다. 출산장려금 제도는 지방자치단체별로 도입시기와 지원 금액이 상이하다. (따라서 2005년부터 2024년까지 17개 지방자체단체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출산장려금 정책 현황을 살펴본다. 본 지자체 패널데이터 요약통계는 곽은혜(출산지원정책의 효과분석 2021)가 수집한 자료이다. ) (데이터 찾아야함 어떤거 보여줄지?) 출산장려금은 기본적으로 지방자치단체가 자율적으로 조례로 정하여 시행하기 때문에 지원 금액이나 지원 대상 및 지원요건 등이 지방자치단체마다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지급방식, 지급금액, 정책도입시점 모두 상이한 것이 특징이다(송헌재・김헌아, 2014)...
-
[On-going] BackgroundPaper Writing 2/Draft 2025. 5. 6. 07:58
저출산 문제의 심각성에 따라 정부는 지난 20년간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다양한 저출산 정책을 시행하였다. 2005년 저출산 · 고령사회기본법을 제정한 후 2006년부터 5년 단위의 저출산 · 고령사회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여, 2025년 현재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의 막바지에 있다. 그러나 증감을 반복하던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2015년 이후로 뚜렷한 하락세가 이어져오고 있으며, 2018년에 1 미만으로 진입하였다. 우리나라 출생아 수 역시 2005년 438,000여 명에서 2015년까지 10년간 증감을 반복하며 40만 명대의 출생아 수를 기록하고 있었지만 2015년 이후 지속적이고 가파른 하락세를 보인다.(출산지원정책의 효과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2021) (figure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