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On-going] Reference 2 (methodology)Paper Writing 2/Draft 2025. 5. 10. 21:59
(1) SDID* Arkhangelsky, D., S. Athey, D. A. Hirshberg, G. W. Imbens, and S. Wager. 2021. Synthetic Difference-in-Differences. American Economic Review 111(12): 4088–4118. https://www.aeaweb.org/articles?id=10.1257/aer.20190159. * Damian Clarke, Daniel Paila˜nir, Susan Athey, Guido Imbens. 2023. Synthetic Difference In Differences Estimation. * Kranz, S. 2022. Synthetic Difference-in-Differences..
-
[On-going] AppendixPaper Writing 2/Draft 2025. 5. 10. 14:38
A. Estimation Algorithms for SDIDB. Placebo Variance EstimationArkhangelsky et al. (2021) propose three variance estimation methods to construct asymptotically valid confidence intervals based on their theoretical framework. However, both the bootstrap and jackknife approaches are tailored for settings with a large number of treated units and may yield unreliable results when the number of treat..
-
[On-going] MethodologyPaper Writing 2/Draft 2025. 5. 10. 06:59
※ Notation 정리 아직 안된 상태 (e.g. baby birth subsidy or baby bonus? birthrate or fertility rate? etc.)※ reference 정리 아직 안된 상태 ※ 수식!! ※ algorithm & implementation은 appendix로.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the baby birth subsidy policy implemented by Incheon in 2024 —referred to as the "1 Billion+ I-Dream" program—has led to an improvement in the birth rate relative to other..
-
Baby Bonus, Fertility, and Missing WomenCausality/paper 2025. 5. 8. 07:00
https://jhr.uwpress.org/content/early/2024/10/01/jhr.0322-12208R3 (※ 본 논문은 baby bonus가 fertility rate에 미치는 영향 외에도 신생아의 성비,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도 추정한다. 그리고 fertility rate에 미치는 영향을 산모의 age group별로 추정한다. 하지만 나는 이 모든 내용을 다 볼 여력이 없어서, 탄생순위 별 fertility rate에 미치는 영향만 보고, 나머지 내용은 생략함) 우리나라의 출산지원금 제도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선행연구를 통틀어, 가장 마음에 드는, 그리고 유일하게 신뢰가 가는 논문이다. (나 이렇게 신랄하게 선행연구들을 비판하면, 내 논문은 뼈 맞다가 순살치킨이 될 것 같긴 ..
-
[On-going] Reference 1 (previous work)Paper Writing 2/Draft 2025. 5. 7. 07:03
* Reference (Korea / Other countries)(1) 국내선행연구1. 곽은혜(2021), 출산지원정책의 효과 분석, 정책연구 2021-03 한국노동연구원- 2007년부터 2019년까지 전국 230개 지방자치단체 패널 데이터를 이용한 고정효과 모형을 통해 출산장려금의 출산율 제고 효과 분석- 출산장려금의 증가는 출생아 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출산장려금 10만 원 증가는 가임여성 천 명당 출생아 수를 0.048명 증가시킨다. 이는 가임여성 천 명당 출생아 수 평균의 0.14% 증가에 해당한다.2. 김민곤․천지은(2016), 저출산 정책으로서 출산장려금의 정책 효과성 연구: 서울 25개 자치구들을 중심으로 , 국가정책연구 30(2), pp.163~190.- 2012년~2014년까지 ..
-
Time-linePaper Writing 2/Draft 2025. 5. 6. 23:44
창작의 고통..글짓기 너모 힘들어요. 살려주세요. 피로가 몰려오는 듯.오늘은 좀 일찍 자야겠다라고 말하는데, 벌써 12시가 다 되어가네. 힝 원래 오늘 전 부치고 두릅 데쳐먹으려 했는데, 글짓기 하다가 하나두 못 해먹었다. ㅜㅜ 힝 이번 주는 previous work, data, methodology 마무리하고,담주에는 experiment 다시 제대로 해서 정리하자. methodology 정리하는 게 좀 힘들 거 같긴 한데..힘내자 아자아자!!
-
[On-going] Data & Previous worksPaper Writing 2/Draft 2025. 5. 6. 12:20
Data1. 지자체별 출산장려금 현황 및 데이터의 한계출산장려금은 출산과 양육을 위해 일시적 혹은 일정 기간 지급하는 모든 현금지원을 의미한다. 출산장려금 제도는 지방자치단체별로 도입시기와 지원 금액이 상이하다. (따라서 2005년부터 2024년까지 17개 지방자체단체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출산장려금 정책 현황을 살펴본다. 본 지자체 패널데이터 요약통계는 곽은혜(출산지원정책의 효과분석 2021)가 수집한 자료이다. ) (데이터 찾아야함 어떤거 보여줄지?) 출산장려금은 기본적으로 지방자치단체가 자율적으로 조례로 정하여 시행하기 때문에 지원 금액이나 지원 대상 및 지원요건 등이 지방자치단체마다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지급방식, 지급금액, 정책도입시점 모두 상이한 것이 특징이다(송헌재・김헌아, 2014)...